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상장 해외 ETF 중 미국 반도체 ETF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반도체 ETF는 S&P, 나스닥, 다우존스 ETF보다 변동성이 더 크다.

변동성이 크다는 건 상대적으로 수익을 더 낼 수도, 손실이 더 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의 20년간 월봉 차트를 보자.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미국을 대표하는 지수들과 비슷하게 20년간 계속 우상향 하고 있지만 변동폭은 더 크다.

 

변동폭이 크다는 건 그만큼 더 알아야 한다는 것이고 더 큰 수익을 거두고 싶으면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시장에 상장된 미국반도체 ETF 종목은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접속하자.

 

http://data.krx.co.kr/contents/MDC/MAIN/main/index.cmd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증권상품 - ETF - 세부안내 - ETF 상세검색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조회된다.

 

 

  • ETF검색: 반도체
  • 기초자산: 주식
  • 기초시장: 해외
  • 지역: 북미
  • 국가: 미국

검색조건을 선택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국내에 상장된 미국반도체 ETF 목록이 조회된다. 

 

반응형
728x90

 

필자가 추천하는 국내상장 미국반도체 ETF는 4가지 정도로 압축된다.

(시총, 상장주식수, 거래량은 2024년 10월 16일 기준.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20일 평균)

 

KODEX 미국반도체MV
RISE 미국반도체NYSE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추천

  • KODEX 미국반도체MV(390390): 펀드수수료가 저렴하고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381180)보다 최근 1년 수익률이 더 높다.
  • RISE 미국반도체NYSE(469060): 미국에 상장된 iShares Semiconductor ETF (SOXX) 대신 국내상장된 ETF 투자하고자 할 때 선택하면 된다. 펀드수수료가 4종목 중 가장 낮지만 시총이 낮고 거래량이 너무 적다.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381180): 미국에 상장된 Invesco PHLX Semiconductor ETF (SOXQ) 대신 국내상장된 ETF 투자하고자 할 때 선택하면 된다. 시총이 가장 크고 거래량도 가장 많다.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423920): 반도체 업황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고 다양한 금융지표를 읽고 해석할 수 있을 정도라면 중단기로 투자하기를 추천한다. 최근 1년 수익률이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381180)보다 2배 높다.
해당 콘텐츠는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자는 본 자료에 의거한 투자행위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