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중상주의(Mercantilism)란 무엇인가? (유럽의 탐욕)

중상주의는 16~18세기 유럽에서 지배적이었던 경제사상으로, “국가의 부는 금과 은의 양으로 결정된다”라는 단순한 생각에서 시작됐다. 그 결과:

  • 식민지 개척 → 약탈 → 금·은 쌓기
  • 무역에서 흑자만 추구 → 관세 강화, 수출만 장려, 수입 억제
  • 생산성 향상, 산업 경쟁력 강화보다 약탈에 의존 → 산업혁명 직전까지 경제정체

하지만 이 사고는 심각하게 잘못된 전략이었다.

  • 금·은은 가치 저장 수단이지 생산성의 원천이 아님.
  • 약탈과 독점은 지속 불가능한 성장.
  • 무역을 제로섬 게임으로 만들고 결국 혁신 경쟁에서 뒤처짐.

즉, “돈을 쌓아두는 것이 부”라는 사고는 경제성장을 멈추게 하는 독이다.

 

2. 대한민국의 현대판 중상주의: 부동산

이제 한국으로 오면, 구조가 놀랍도록 비슷하다.
“부는 부동산에서 나온다.”
이 사고방식이 한국 사회를 어떻게 만들었나?

  • 정책: 집값은 절대 안 떨어진다 → 정책 설계는 부동산 방어 중심. 전 세계 유일한 제도인 전세제도 시행.
  • 가계: 자산의 70% 이상이 부동산에 묶임.
  • 기업: 혁신 산업 투자보다 부동산 투기 선호.
  • 청년: 창업보다 “내 집 마련”이 인생 목표.
  • 가계부채: 세계 최고 수준 → 금융위기 리스크 상시 존재.

즉, 돈이 부동산이라는 사금고에 갇혀버려 자본이 선순환하지 않는 구조가 되었다.
18세기 유럽의 중상주의 유령이 21세기 대한민국에 떠돌고 있는 것이다.

 

가치 저장 수단

 

3. 유럽 vs 한국 기득권: 탐욕의 방식 비교

여기서 중요한 차이:

  • 유럽 기득권: 조직적으로 식민지를 개척, 자원 약탈 → 금·은 축적.
  • 한국 기득권: 뭔가를 개척하고 창조할 능력도 없으니 자국민을 대상으로 착취.
    • 부동산 가격을 인위적으로 올려 세금과 이익을 독점.
    • 정책과 법을 설계해 부동산만이 부의 사다리가 되도록 만듦.
    • 결과적으로 청년층·서민층을 경제적 노예화.

즉, 유럽은 최소한 ‘전쟁’이라는 대규모 행동을 했지만,
한국 기득권은 자국민을 식민지처럼 다루며 제도적 착취를 정교하게 실행했다.

 

4.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돈이 안 돈다”

  • 생산성 없는 자산에 자본이 고정 → 기업 투자, 스타트업, 연구개발에 자본이 안 흘러감.
  • 소비 여력 축소 → 가계가 집값, 대출 이자 갚느라 허덕 → 내수 침체.
  • 청년의 모험심·창의성 감소 → “집부터”가 인생 목표가 되면서 혁신적 리스크 테이킹 포기.
  • 정책 왜곡 → 정부는 집값 방어, 세수 확보를 위해 규제·세제 설계를 기득권에 유리하게 만듦.
  • 장기적으로는 성장 잠재력 붕괴.

결국, 한국 경제는 부동산이라는 금고에 갇혀 질식하고 있다. 혼인률, 출산률이 박살 난 것도 이러한 결과 아닐까?

 

 

결론

중상주의가 금·은에 집착해 유럽 경제를 수백 년간 묶어두었다면, 한국은 부동산이라는 현대판 금·은에 집착해 경제의 피를 말리고 있다.

혁신과 생산성이 아닌, ‘가격 상승’이라는 착시 부’에 의존하는 사회는 필연적으로 몰락한다.
장기적으로 한국이 살아남으려면 “자본의 흐름”을 혁신과 산업으로 돌려야 하는데 과연 될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들어가며

주식 매매를 통해 꾸준히 수익을 올리려면 기술적 분석, 기본적 분석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 정치 뉴스도 계속 귀 기울여야 하고 투자하는 기업의 새로운 소식들도 계속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한다. 자신의 시간을 이용해 돈을 벌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따로 시간을 쪼개어 투자 공부를 계속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투자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아야 하지만 매일 차트를 들여다 보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돈이 들어오는 기를 바라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우선 월 100만 원씩 배당소득이 들어오는 것을 목표로 잡자. 월 100만 원이면 생활비도 안 되는 금액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월 100만 원 배당을 첫 번째 목표로 한 것은 얼마나 많은 자금이 필요하고, 어떤 자산에 투자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한 번 이렇게 목표를 세우고 계획하면 월 300만 원, 월 500만 원 배당 시나리오를 스스로 작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월 100만원 배당 받으려면 얼마 필요할까?

 

투자 자산 규모별로 월 100만 원을 배당받기 위한 필요 배당률을 알아보자.

  • 연간 목표 배당금: 1,200만원
  • 필요 평균 배당률: 투자 자산 규모에 따라 달라짐
    • 3천만 원 → 필요 배당률 40% 
    • 5천만 원 → 필요 배당률 24% 
    • 1억 원 → 필요 배당률 12% 
    • 2억 원 → 필요 배당률 6%
    • 3억 원 → 필요 배당률 4%
    • 4억 원 → 필요 배당률 3%

💰  3천만 원: 기초 다지기 단계

우선 투자 자산이 3천만 원일 경우를 살펴보자. 필요 배당률이 40%에 달하는데 일반 배당 ETF는커녕 고배당 ETF로도 불가능하다.  YieldMax ETF 같은 옵션 프리미엄 ETF에 투자한다면 가능하기는 하다. 하지만 옵션 프리미엄 ETF에 투자하면 대부분 원금손실이 나고 매월 똑같은 배당이 들어오는 것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 자산이 3천만 원인 경우는 배당보다 자산 불리는데 더 집중하도록 하자. 그래도 최종목표는 배당소득이므로 주가가 크게 상승하지는 않지만 매월 1%의 배당이 안정적으로 들어오는 미국 커버드콜 ETF인 JEPI, JEPQ, QYLD, XYLD에 소액으로라도 적립식으로 투자하기를 권한다. 

 

💰  5천만 원: 성장 가속화 단계

두 번째로 투자 자산이 5천만 원일 경우를 살펴보자. 필요 배당률이 24%인데 이 수치도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투자 자산이 5천만원일 경우도 자산 불리는데 더 집중하고 위에서 설명한 미국 커버드콜 ETF에 투자하고 이 금액부터 BITO나 옵션 프리미엄 ETF에 소액으로 투자해 보기 바란다.

 

💰  1억 원: 본격적인 배당 투자

세 번째로 투자 자산이 1억 원인 경우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투자 자산이 1억 원일 때부터 월 100만 원 배당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위에서 예를 든 미국 커버드콜 ETF는 월 1% 이상 배당이 꾸준히 들어온다. 투자 자산 1억 원을 미국 커버드콜 ETF에 전부 투자하면 매월 100만 원이 배당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하지만 투자 자산 1억 원이 있다고 해도 모두 하나의 ETF에 몰빵하는 것은 좋지 않다. 우선 미국 커버드콜 ETF에 계속 투자하면서 전체 자산이 1억 5천만 원이 넘을 때 미국 커버드콜 ETF 투자금이 1억 원이 되는 걸 목표로 하자.

 

💰  2억 원 이상: 더 많은 배당 소득 목표

투자 자산이 2억 원 이상인 경우는 미국 커버드콜 ETF에 1억 원으로 매월 100만 원 배당소득이 발생하게 하고 나머지는 자산을 더 불리거나 고위험 옵션 프리미엄 ETF에 투자하여 100만원 이상의 배당소득이 나오게 만들 수 있다.

처음에도 언급했지만 100만 원을 최종 목표로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2억, 3억, 4억 투자 자산이 있는 경우는 더 많은 배당을 받는 것을 목표로 자금을 배분하고 계획을 세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세금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배당은 배당소득세 15%(미국주식 기준)을 원천징수하고 들어오기 때문에 월 100만 원 순소득이 발생하려면 배당으로 월 1,176,471원이 들어와야 한다. 그러므로 실제로 1억원 넘게 미국 커버드콜 ETF 투자해야 월 순소득 100만 원이 가능하다.

 

마치며

월 100만 원 배당은 결코 쉽지 않은 목표지만, 체계적인 계획과 꾸준한 실행으로 달성 가능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보유한 자금 규모에 맞는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단계별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다. 특히 고위험 투자로 단기간 달성하려 하기보다는, 2억 이상의 자산으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다.

해당 콘텐츠는 필자가 2년간 미국 커버드콜 ETF인 JEPI, JEPQ, QYLD, XYLD에 직접 투자하여 평가손실은 거의 없고 매월 1% 이상 배당이 들어오는 것을 경험하고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모든 투자상품이 그렇듯 이러한 흐름이 계속된다는 보장은 없으니 처음에는 소액으로 투자해서 직접 경험해 보기를 바랍니다.
해당 콘텐츠는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자는 본 자료에 의거한 투자행위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ISA는 사회초년생이든 투자를 오랫동안 해온 사람이든 필수로 가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국과 같이 주주가 회사의 주인이고 가치를 끝없이 창출하는 진짜 자본주의시장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면 사회초년생이든 투자전문가든 모두 수익을 낼 수 있다. 적립식으로 꾸준히 투자하기만 해도 된다. 수익이 나면 세금이 발생하는데 ISA 계좌는 일반형은 200만 원, 서민형은 400만 원까지 이자배당소득세를 비과세 해주고 초과하는 금액도 9.9% 분리과세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면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것이다.

 

 

다음 표는 실제로 필자가 대략 3년간 ISA를 운영하면서 계좌에서 발생한 수익(이자배당소득)이다. 매도 시 발생한 소득과 배당소득이 포함되어 있다.

23년4월     671,718
23년12월     232,189
24년1월     542,480
24년2월     235,708
24년3월     355,041
24년4월     127,561
24년5월     171,625
24년6월       18,700
24년7월     210,690
24년8월       36,050
24년9월         9,450
24년10월     825,943
24년11월       86,440
24년12월     173,128
25년1월     194,272
25년2월     192,546
25년3월     140,098
25년4월     125,473
25년5월     176,229
25년6월     226,155
25년7월     301,535
25년8월     385,553

 

총 5백만원이 조금 넘는 금액이다. 필자는 서민형으로 가입했는데 400만 원 비과세 한도가 초과되었고 100만 원 정도 되는 소득금액은 9.9% 분리과세 처리된다. 초과된 금액도 일반계좌에서 운영했을 때 발생하는 이자배당소득세 15.4%보다 저렴하다. 또한 금융소득종합과세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위의 표는 현재까지만 실현된 소득이고 만기 해지 시 실현하게 될, 꽤 많은 미실현수익이 남아 있다. 

 

포트폴리오

필자의 ISA 계좌의 포트폴리오를 공개하도록 하겠다. (2025년 9월 1일 현재 기준)

  •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381170)
  • ACE 미국빅테크TOP7 Plus(465580)
  • KODEX 미국반도체(390390)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423920)
  • TIGER 인도니프티50(453870)
  • ACE 미국 30년 국채 액티브(H)(453850)
  •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457480)
  • SOL 미국AI전력인프라(486450)
  •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486290)
  • ACE 미국빅테크TOP7+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480020)
  •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 H)(481060)
  • TIGER 글로벌리튬&2차전지SOLACTIVE(합성)(394670)
  • KODEX 2차전지산업(305720)

 

대부분 수익률이 좋은 미국 ETF로 구성했고, 매월 1% 배당금을 지급하는 커버드콜과 올해 들어 다시 살아나고 있는 2차 전지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ISA 계좌는 5년 만기이지만 3년이 지나면 해지할 수 있기 때문에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ETF처럼 지수를 추종하는 ETF보다 ISA를 운용하는 기간 동안 미국경제를 이끌어갈 업종에 집중투자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2023년부터 ISA를 운용했는데 4차 산업을 이끌어가는 대표 M7, AI, 반도체와 자율주행, 전기차, 로봇과 관련된 ETF에 많은 비율로 투자하였고 배당을 받아 재투자하는 목적으로 커버드콜 ETF도 구성하였다.

 

당연히 위 종목에서 손실 나는 종목도 있다. 하지만 ISA 장점은 미국주식과 같이 손익통산된다는 점이다. 이 점을 활용하여 보다 더 공격적으로 ETF를 구성했던 것이다. 

 

ISA 계좌는 1년에 최대 2,0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필자는 매월 150만 원 정도씩 꾸준히 납입하다가 미국주식과 코인에 조금 더 집중투자하기 위해서 더 이상 납입은 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현재 포트폴리오에서 정기적으로 리밸런싱을 하고 있는데 미국증시와 관련된 지표, 미국지수 차트와 M7 차트를 참고해서 분할 매수, 분할 매도하고 있다. 

 

이렇게 운용하게 되면 더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더 열심히 공부하게 되고 더 많은 것을 알게 된다. 대신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정해진 ETF만 매월 고정적으로 매수하고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포트폴리오가 정답이라는 것은 아니며 필자처럼 리밸런싱 하는 방법도 정답은 아니다. 필자의 포트폴리오를 참고하여 각자 상황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된다. 

 

투자에서 가장 좋은 시점은 '10년 전'이고, 그다음으로 좋은 시점은 '지금'이다.
완벽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려고 고민만 하기보다는, 적은 금액이라도 시작해 보기를 바란다. ISA 계좌의 세제 혜택과 ETF의 안정성을 활용한다면, 여러분도 충분히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콘텐츠는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자는 본 자료에 의거한 투자행위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P.S. 투자 관련 궁금한 점이나 포트폴리오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경험을 바탕으로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미국시장 외 관심 가져야 할 시장으로 인도 시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인도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중 하나로, 인구 1위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2020년대 후반에 인구가 15억 명을 넘어 2064년에는 17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도의 중위연령이다. 인도의 중위연령은 2023년 기준 28세로, 2050년이 되면 37세가 된다. 

반면 중국의 중위연령은 2023년 기준 38세, 2050년이 되면 50세가 된다고 한다.

왜 인도에 투자해야 할까?

  1. 강력한 경제 성장: 인도는 2022년에 7%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현재 세계 GDP 순위 5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5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4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7년에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2. 미국의 전략적 지원: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의 경제적, 정치적 위상이 더 높아질 것을 의미한다.
  3. 대표 기업들: 인도의 주요 기업으로는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에너지), 타타 컨설턴시 서비스(IT 서비스), HDFC 은행, ITC(농업), 그리고 인도 최대 은행인 State Bank of India가 있다. 이들은 인도 경제 성장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상장된 인도ETF 중 가장 오래된 KOSEF 인도 Nifty50(합성)(200250)의 연봉 차트를 보자. 한 눈에 봐도 계속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도니프티50 연봉차트

 

반면 동일한 기간의 코스피 연봉 차트를 보자. 10년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전세계 최저 수익률 코스피 연봉차트

 

국내에서 인도 시장에 투자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국내에 상장된 인도 ETF에 투자하는 것이다.

국내시장에 상장된 인도 ETF 종목은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접속하자.

 

http://data.krx.co.kr/contents/MDC/MAIN/main/index.cmd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증권상품 - ETF - 세부안내 - ETF 상세검색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조회된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 기초시장: 해외
  • 지역: 아시아
  • 국가: 인도

검색조건을 선택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국내에 상장된 인도 ETF 목록이 조회된다. 

 

반응형

 

필자가 추천하는 국내상장 인도 ETF는 3가지 정도로 압축된다. 최근 1년간의 수익률이 대략 24% 정도 된다. 최근 1년간 매달 적립식으로 투자했을 경우 수익률은 12% 정도 된다.
(시총, 상장주식수, 거래량은 2024년 10월 20일 기준)

 

KODEX 인도Nifty50
KOSEF 인도Nifty50(합성)
TIGER 인도니프티50

 

추천

  • KODEX 인도Nifty50(453810), TIGER 인도니프티50(453870): 펀드수수료가 저렴하고 분기별로 배당을 실시한다.
  • KOSEF 인도Nifty50(합성)(200250): 국내에 상장된 인도 ETF 중 가장 오래되었다. 1년에 한 번 배당을 실시한다.
해당 콘텐츠는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자는 본 자료에 의거한 투자행위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상장 해외 ETF 중 미국 반도체 ETF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반도체 ETF는 S&P, 나스닥, 다우존스 ETF보다 변동성이 더 크다.

변동성이 크다는 건 상대적으로 수익을 더 낼 수도, 손실이 더 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의 20년간 월봉 차트를 보자.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미국을 대표하는 지수들과 비슷하게 20년간 계속 우상향 하고 있지만 변동폭은 더 크다.

 

변동폭이 크다는 건 그만큼 더 알아야 한다는 것이고 더 큰 수익을 거두고 싶으면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시장에 상장된 미국반도체 ETF 종목은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접속하자.

 

http://data.krx.co.kr/contents/MDC/MAIN/main/index.cmd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증권상품 - ETF - 세부안내 - ETF 상세검색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조회된다.

 

 

  • ETF검색: 반도체
  • 기초자산: 주식
  • 기초시장: 해외
  • 지역: 북미
  • 국가: 미국

검색조건을 선택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국내에 상장된 미국반도체 ETF 목록이 조회된다. 

 

반응형

 

필자가 추천하는 국내상장 미국반도체 ETF는 4가지 정도로 압축된다.

(시총, 상장주식수, 거래량은 2024년 10월 16일 기준.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20일 평균)

 

KODEX 미국반도체MV
RISE 미국반도체NYSE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추천

  • KODEX 미국반도체MV(390390): 펀드수수료가 저렴하고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381180)보다 최근 1년 수익률이 더 높다.
  • RISE 미국반도체NYSE(469060): 미국에 상장된 iShares Semiconductor ETF (SOXX) 대신 국내상장된 ETF 투자하고자 할 때 선택하면 된다. 펀드수수료가 4종목 중 가장 낮지만 시총이 낮고 거래량이 너무 적다.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381180): 미국에 상장된 Invesco PHLX Semiconductor ETF (SOXQ) 대신 국내상장된 ETF 투자하고자 할 때 선택하면 된다. 시총이 가장 크고 거래량도 가장 많다.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423920): 반도체 업황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고 다양한 금융지표를 읽고 해석할 수 있을 정도라면 중단기로 투자하기를 추천한다. 최근 1년 수익률이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381180)보다 2배 높다.
해당 콘텐츠는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자는 본 자료에 의거한 투자행위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